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PICKit3 사용할때 볼 수 있는 Error

"Warning : No configuration words in hex file. In MPLAB use File-Export to save hex with config"

 

우선, in Toolbar에서, Configure>>Configuration Bits 로 갈것


IESO(=Internal External SwitchOver Mode) -----> Oscillator ChangeOver Mode

 : 오실레이터 전환 모드 (when IESO=0 일때, Disabled 상태, when IESO=1 일때, Enabled 상태)


Must check the option XT osciilator 를 반드시 체크할것, when you use External Oscillator를 사용할때.

IESO :: Enable일때, 두가지 이상의 OSC사용, Disable일때, 한가지 OSC사용.

When the Box of "Configuration Bits set in code" is checked, 

you need to set the Config.Bit in code manually.

(You can get perfect HEX having Config.Bit in it)

Otherwise, Un-check the box & Set them in the section above.

(This HEX requires additional Config.Bit in Memory)


(체크해주면, 위 섹션은 전부 Diabled 상태가되고, 코드상에서 손수 설정해줘야한다. ☆HEX파일내에 완벽하게 Configuration Bit가 포함되있다.)

(체크박스를 해제하면, 위 섹션을 체크해줘야한다. 이 방식은 HEX + 메모리안의 Config.Bit = Chip에 Burning 되는 방식이다.)



File >> Export



Posted by ElectricShock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Open#16F877A#PIC#PIC개발보드#MPLAB

엘레파츠 제품 Open, open, open16, open16F877A

Open16F877A는 컴팩트하고 좋은 개발보드이긴한데 자료잦기가 여간 어렵지않다.


16F877A_English.pdf




그래서 여기에 간간히 테스팅 결과를 올려보려고 한다.

MPLAB IDE 기반이긴 한데 가능하면 MikroC pro for PIC 기반으로 바꾸려고 한다.

 

2.2inch-320x240-Touch-LCD-A.7z

▲위 파일은 WaveShare 관계자가 준 파일이다.

MPLAB IDE를 설치후 ToolSuite를 HI-TECH로 잡아주면 컴파일된다. (참고로 칩은 18F452를 택할것)


http://www.waveshare.com/wiki/Open16F877A#cite_note-LCD1602_.283.3V_Blue_Backlight.29-1

여기서 Resources를 찾으면 아래 사이트로 이동

http://www.waveshare.com/wiki/File:Open16F877A-Demo.7z

여기서 다운로드를 하면 각 데모코드를 찾을 수 있다.

Open16F877A-Demo.7z

★Heder File은 pic.h 이다. (=HiTech Library)

코드상에 XTal에 대한 선언이 없으므로...

Configure >> Configuration Bits에서...

▲여기서 선언해주면 코드상에서 선언이 없어도 된다.

Configuration Bit set in code는 체크해제 해준다.



<개발보드를 통해서 Hex 넣을때>

MPLAB IDE를 이용하여 HEX코드 넣는방법

1.Open16F877A 개발보드를 이용해서 Hex코드를 얹을 경우

일단 5VDC Jack을 연결합니다. (잘 보관할것)

그런다음 바로 아래에 있는 Jumper를 VCC-5V에 연결합니다.

참고로 스위치는 왼쪽이 ON, 오른쪽이 OFF 입니다.


2.외부전압을 끌어왔으므로

Programmer >> Settings 로 들어가서 

아래 그림처럼 Power target circuit from PICkit3를 비활성화 시킵니다.


아래 그림처럼 버튼들이 뜨면 연결된 상태이다.

이 버튼들을 이용하여 HEX를 얹으면 된다.


<개발보드 없이 바로 Hex를 넣을때>

사용하는 PIC chip의 MCLR, VDD, VSS, PGD, PGC 를 맞춰서 PICkit3에 연결한다.

위 그림의 Power targer circuit from PICkit3 를 체크해제 해야한다.

Posted by ElectricShock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Salary : Yearly ammount = 2천100만 원

Wage : Monthly ammount

 

Joe've paid for the friend already

They've gonna give Joe back the money Next Thursday

 

Posted by ElectricShock
:

BLOG main image
잡동사니들(지극히 개인취향인...) (다른글에도 댓글 부탁해요♥) You May Leave English Messages on GuestBook. by ElectricShock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82)
MiDi (2)
Programming(=프로그래밍) (3)
Animation (4)
Blender (3D Graphic Program.. (10)
Blendtuts.com (Series) (1)
Blender 기초 팁들 (2)
Processing (디지털미디어과) (2)
Music (1)
Books in the world (0)
Communication(CAN, UART, et.. (12)
MCU Examples (PIC 기반) (7)
Transistor (1)
Mikro C Pro (11)
Mikro Pascal (1)
Proton IDE (0)
Robot (0)
Swift 3D (1)
Dummies Series (1)
All about Hacking (0)
제2 외국어 (1)
PIC 해외서적들 (3)
AVR (25)
PIC (MikroC) (MPLAB) (4)
Assembly (2)
ARM (3)
Arduino (26)
PSpice (1)
Proteus ISIS (14)
CodeVision (2)
FPGA (15)
MPLAB (24)
PCB (the Procedure) (15)
3D Printer (5)
PICKIT3 (6)
Matlab (11)
RaspBerry PI (15)
BeagleBone (1)
Android Studio (17)
졸업작품 (172)
Korea History (0)
Issue(사회) (73)
Multimeter 리뷰 (1)
Oscilloscope (1)
A (34)
B (19)
J (6)
C (32)
P (12)
T (37)
H (12)
I (12)
M (44)
R (5)
E (5)
F (2)
D (9)
O (2)
L (7)
S (9)
W (2)
V (6)
G (14)
Visual C++ or Visual Studio (2)
Android App Development (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