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글자 투명도 조정


.

.

.

<p style="float: none; text-align: left; clear: none;"><span style="color: rgb(255, 255, 255); opacity: 0.0;">마곡지구 발산역에서 걸어서 1분거리 초역세권에 위치한 통상가&nbsp;</span></p>

<p style="float: none; text-align: left; clear: none;"><span style="color: rgb(255, 255, 255); opacity: 0.0;">마곡지구 발산역 역세권에 위치한 [열린프라자]는 2016년 1월 25일에 준공완료되었습니다.</span></p>

<p style="float: none; text-align: left; clear: none;"><span style="color: rgb(255, 255, 255); opacity: 0.0;">따라서 상가에 비해 발산역 역세권을 조기에 선점하기에 유리한 상가입니다.</span></p>

<p style="float: none; text-align: left; clear: none;"><span style="color: rgb(255, 255, 255); opacity: 0.0;">발산역에서 도보 1분거리에 있는 초역세권의 열린 프라자 상가 이야기 입니다.</span></p>

<p style="float: none; text-align: left; clear: none;"><span style="color: rgb(255, 255, 255); opacity: 0.0;">아무래도 발산역은 먹자사거리의 상권이 굉장히 중요한데 그 코너의 상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span></p>

<p style="float: none; text-align: left; clear: none;"><span style="color: rgb(255, 255, 255); opacity: 0.0;">까치산-화곡-우장산역을 타고 내려오는 발산역의 인기몰이 중인 마곡지구 상가</span></p>

.

.

.

위 그림처럼 opacity:0.0 을 추가해주면 투명도가 조절된다.

1.0~0.0 까지이고 0.0에 가까울 수록 더욱 투명해진다.

'H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웹디자인 (HTML로 필수 입력사항들 세팅하기)  (0) 2016.07.20
Posted by ElectricShock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Posted by ElectricShock
:

JMOD-128-1

2016. 8. 13. 16:4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Naver

[jmod-128-1 5v] :: 왼쪽위 1번,2번핀이 각각 Vcc,GND 입니다.(여기에 전원 인가할것)




의뢰는 http://instructables.tistory.com/64 로 방문해주세요.

DeviceMart, Eleparts, 및 전자부품 쇼핑몰 사장님들 PPL 기다리고 있습니다.


JMOD-128-1 사용전 외관을 먼저 보겠다.

장점 : 

납땜하기 편하다. NewTC제품과 달리 양쪽이 1렬로 되어있다.

별도의 DownLoader가 필요없다.

단점 :

MP3용 mini-USB를 쓰므로 케이블을 잃어버릴시 구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프로그램 업로드시 Jumper를 반드시 USB쪽으로 돌려주고 수행해야한다.

여타 ATmega128모듈보다 소폭 비싼편이다.



★전원선택점퍼를 오른쪽(USB)으로 틀고, ISP/UART선택스위치를 왼쪽(ISP)로 튼 상태에서

USB-mini커넥터에 USB를 연결하고 HEX를 넣어야한다.

회로상에서 쓸 경우 위 빨간색으로 표시한 Setting을 반대로 설정해야한다.

이경우 전원공급은 아래 그림상에서 왼쪽상단에 있는 VEXT, GND에 전원공급을 한 상태로 쓰면 된다.

VEXT는 External Voltage의 약자이고, 통상 5V 전원을 공급하면 된다.

어답터를 고를시 5V 어답터를 사용하고, 주변회로에서 전류를 많이 소모하는 부품들(예컨데 Motor)이 있다면 큰 전류를 공급해주는 Adapter를 고르면 좋다.

잘 모르면 5V에 3A가 적합하다. (전류는 크면 클수록 좋다.)


사용할때 습관적으로 ATmega128 Main칩에 손을 대보고 뜨거워지면 빨리 제거하는게 좋다.

USB-to-Serial변환기가 열을받은경우는 JMOD를 교체해줘야한다. (점퍼와 선택스위치의 잘못된 Setting 때문에 망가졌을 가능성이 높다.)

BreadBoard에 테스트할시 귀찮다고 VEXT와 USB커넥터에 동시에 전원공급을 해서 쓰는경우가 많은데, 상황에 따라서 전류가 칩에 정체될 경우가 있으니 자제하길 권한다.



jmod-128-1.schematic.pdf

11111

11111


HEX코드를 얹기전에 

전원선택점퍼를 오른쪽으로 돌려서 USB를 통해 전원공급이 되도록 한다.

ISP/UART 선택스위치를 왼쪽으로 제낀다. (ISP 모드로 넘어간다.)

이 상태가 되야 HEX를 upload할 수 있다.



연결후 장치관리자(=Device Manager)에 뜨는 메세지는 아래와 같다.

USB-to-Serial 변환기에 해당하는 Chip이 CP210x USB to UART Bridge이다.

COM1~9 사이의 포트로 잡아줘야 HEX를 넣어줄수 있다. (COM10에서도 Error가 발생한다.)

장치관리자에서 CP210x 드라이버에 Error가 잡힌다면

아래 파일을 다운받는다.

pololu-cp2102-windows-121204.zip


cp210x-uart.lbr




'AVR > ATmega128 Datashe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MEL042(93C56)  (0) 2018.07.03
GS-128B (거상인 제품) ㅁ  (0) 2016.04.20
ATmega128 Datasheet  (0) 2016.03.10
Posted by ElectricShock
:

BLOG main image
잡동사니들(지극히 개인취향인...) (다른글에도 댓글 부탁해요♥) You May Leave English Messages on GuestBook. by ElectricShock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82)
MiDi (2)
Programming(=프로그래밍) (3)
Animation (4)
Blender (3D Graphic Program.. (10)
Blendtuts.com (Series) (1)
Blender 기초 팁들 (2)
Processing (디지털미디어과) (2)
Music (1)
Books in the world (0)
Communication(CAN, UART, et.. (12)
MCU Examples (PIC 기반) (7)
Transistor (1)
Mikro C Pro (11)
Mikro Pascal (1)
Proton IDE (0)
Robot (0)
Swift 3D (1)
Dummies Series (1)
All about Hacking (0)
제2 외국어 (1)
PIC 해외서적들 (3)
AVR (25)
PIC (MikroC) (MPLAB) (4)
Assembly (2)
ARM (3)
Arduino (26)
PSpice (1)
Proteus ISIS (14)
CodeVision (2)
FPGA (15)
MPLAB (24)
PCB (the Procedure) (15)
3D Printer (5)
PICKIT3 (6)
Matlab (11)
RaspBerry PI (15)
BeagleBone (1)
Android Studio (17)
졸업작품 (172)
Korea History (0)
Issue(사회) (73)
Multimeter 리뷰 (1)
Oscilloscope (1)
A (34)
B (19)
J (6)
C (32)
P (12)
T (37)
H (12)
I (12)
M (44)
R (5)
E (5)
F (2)
D (9)
O (2)
L (7)
S (9)
W (2)
V (6)
G (14)
Visual C++ or Visual Studio (2)
Android App Development (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