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781건
Naver
이 작품 구입하시고 싶은분은 instructables.tistory.com/394 에 댓글주세요
(PPT, 보고서 등 자료도 준비되있습니다.)
텀블러를 이용한 프로젝트이다.
아래 그림은 텀블러를 위에서 본 모양이다.
4방향을 향하게 해서 어느방향에 있던 LED로 확인할 수 있다.
LED는 3개층으로 나눠서 총 12개의 LED를 사용한다.
권장섭취하지 못했으면 12개 LED가 동시에 점멸하고
섭취했다면 12개 LED가 모두 꺼진다.
자세한 시나리오를 통해 설명하겠다.
아래 App UI가 있다.
푸시 알람을 1시간 단위로 하고 권장 섭취량을 2L로 세팅했다고 가정하다.
하루 24시간동안 2L를 마셔야한다.
2L를 24시간으로 나누면 1/12L 즉, 0.083333L가 시간당 마셔야하는 섭취량이다.
1시간내에 1/12L를 마셨다면 LED가 잠시 꺼진다. (이때 Timer 필요)
2시간부터는 총 마신량이 1/6L가 되야 꺼진다. 그렇지 않으면 LED가 깜빡이게 된다.
(계속 마셔야한다고 알리는 기능이다.)
3시간부터는 ??? 짐작됬다시피 1/3L를 마셔야 깜빡임이 멈춘다.
24시간이 됬을때 설정한 2L를 마시지 못했을 경우는 모든 LED가 꺼진다.
그리고 다시 Timer는 초기화되서 24시간동안 몇시간단위로 몇L를 마실지를 체크하게된다.
물을 얼마나 마셨는지는 아래 그림처럼 표시된다.
물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된 부품은 Chemical Fluid Level Sensor이다.

Chemical, Petroleum(=석유), Food Safe applications 이다.
Inner Two pins are the Sensor Outputs 이다. (=Rsense).
Outer Two pins are the Reference Resistor 이다. (=Rref).
Suspend () the eTape sensor in the Fluid
to be measured.
.
.
.
The Vent Hole located above the Max Line
allows the eTape
to equilibrate() with atmospheric pressure. (수압때문에)
.
.
.
Rsense는 Voltage Divider 기법을 쓸때 GND에 연결하거나
OP-Amp 기법을 쓸때 반전증복 입력에 연결한다.
Rref는 기준값이 되므로 +V 혹은 비반전증폭 입력에 연결한다.
푸시알람으로 물 섭취권장량 및 섭취량 표시
총 섭취량을 세팅하고 2분동안 모두 마셔야하는데 알람주기를 어느정도로 할지를 바로옆에 세팅힌다.
(원래는 2시간이지만 발표시간을 고려하여 2분으로 축소시켰다.)
'졸업작품 > App포함 졸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량 체크어플 + 저금통 (0) | 2016.10.02 |
---|
▼멀티탭 내부회로 표시
(홈플러스 제품으로 내부분해가 원칙적으로 안됨을 미리 공지드립니다.)
주의할점은 여기 좌우 prongs는 각각 +,-로 위상차가 있으므로
합선시 두꺼비집이 내려갈 정도로 큰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기적으로 설명하면 Load가 따로 없으므로 멀티탭 자체가 Load가 됩니다.
굳이 실험해보고 싶다면 두꺼비집의 위치를 확인후 전기장갑을 끼고 고무손잡이로된 LongNose 혹은 Pliers를 사용하여 끊어지기 쉬운 얇은 전선을 양쪽 prongs에 합선시키면 된다.
Hot >> Neutral로 전기가 흐르는걸로 알수있듯이
Hot이 건전지의 +극, Neutrla이 건전지의 -극에 해당한다.
http://electronics.howstuffworks.com/everyday-tech/question110.htm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wo and three pronged plugs ?
Let's start with what the holes in an outlet do.
When you look at a normal 120-volt outlet in the United States,
there are two vertical slots and then a round hole centered below them.
시작하자 with 무언가로 the 홀들이 하는... in an 아웃렛 안에서.
When 네가 볼때 at a 일반 120V 아웃렛을 in the 미국에서,
there are 두개의 수직 슬랏들이 있다. and then a 둥근 홀이 중심에위치한 below them에.
The left slo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right.
The left slot is called "neutral," the right slot is called "hot" and the hole below them is called "ground."
The prongs on a plug fit into these slots in the outlet.
The 왼쪽이 약간 더 크다. than the 우측보다.
(★좌우가 약간의 Phase의 차이를 두고있음을 알수있다. (왼쪽이 앞서있다.))
왼쪽 slot은 불린다. "Neutral",
오른쪽 slot은 불린다. "Hot"
아래 hole은 불린다. "GND" 라고.
그 prongs... on a 플러그상의 ...는 딱맞는 into 이런 slots에 in the 아웃렛으로.
If you have read How Batteries Work,
you know that electricity must flow in a circuit.
In a battery, electricity flows from one terminal of the battery to the other.
In a house outlet, power flows from hot to neutral.
The appliance you plug into an outlet completes the circuit from the hot slot to the neutral slot, and electricity flows through the appliance to run a motor, heat some coils or whatever.
Let's say you plug a light bulb into the outlet.
The power will flow from the hot prong, through the filament and back to the neutral prong, creating light in the process.
'졸업작품 > 멀티탭 (bluetooth기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uino to Arduino (Bluetooth Comunication) (0) | 2017.11.30 |
---|